Mission

Ecclesiology for Mission Based on the Gospel of St. John 사도 요한복음의 선교적 교회론

ULI 2014. 6. 30. 22:10

 

Ecclesiology for Mission Based on the Gospel of St. John

                     사도 요한복음의 선교적 교회론 Dr. John Hoi C. Kim


한국교회는 세계 선교에 주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다고 자만하였다.
The case of Protestant in Korea conceited that they did notable growth in world missions.

성육신적인 자세는 취하지 않았다.
Without taking incarnational attitude as the Christian church.

성장지향성, 교회의 업적 지향성의 결과만을 부추기었다.
There inciting things only directional growth of the church, the result of the achievement orientation.
세속 사회 방식의 교회 성장학이 인도선교사 출신인 맥가브란(McGavran, Eye of the Storm, 1972)에 의하여 저술된 것은 그 영향이 컸었다.
Church Growth (Eye of the Storm) of the way of secular society a former missionary of India, 1972 was due to have been authored by Donald McGavran.

*이러한 결과로 한국교회는 사회적인 신뢰도가 추락되었다: South Korea's Protestant Church has fallen the reliability.


이러한 상황에 처한 한국교회를 향한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기에 사도 요한복음에 근거한 선교적 교회론을 연구할 필요가 생기었다. For the diagnosis and prescription towards Korea Churches.
요한복음에 보면, 사도 요한은 그리스도를 이탈한 사역에 크게 네 가지의 선교적 교회론을 제시하고 있다.
There are 4 kinds of ecclesiology for mission based on the Gospel of St. John against the ministry without Christ.


A. 기구 교회론 Instrumental Church
선교적 교회를 주창한 레슬리 뉴비긴은 “교회는 그러한 영역 위한 하나님의 통치의 하나의 표식이며, 기구이고, 맛보기이다. 책임성이 있는 인류의 전체적 패브릭의 부문은 그의 특수한 문화를 지닌 그러한 영역을 위한 한 표식이며 기구이고, 맛보기이다.”라고 하였다.
Lesslie Newbigin claimed that the Church is a sign, instrument, and foretaste of God’s reign for that ‘place,’ that segment of the total fabric of humanity, for which it is responsible -- a sign, instrument and foretaste for that place with its particular culture.

필자는 사도 요한복음에서 그러한 것들을 발견하였다.

사도 요한복음의 3대 기구 교회론   Instrumental Church Based on the Gospel of St. John

Ch 2 –돌항아리 교회 Jar Church
      : Living Church
Ch 6 –바구니 교회 Basket Church
      : Sharing Church
Ch13-대야 교회 Basin Church
      : Washing Church



Ch 2 – 돌항아리 교회 Jar Church : Living Church
돌 항아리 교회에 대한 이해 ? The Understanding on Jar Church?
돌 항아리는 1200도의 고온으로 열처리 되어야 하기에 세미한 구멍이 형성됨으로 그 효과가 대단한 곳이다.
돌항아리 역할 The Effectiveness of the Jar Church
1. 생명성이다. Life-Vitality
옹기는 1,200℃의 고온에서 생성된 수없이 많은 미세한 구멍들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기도 하고 내부의 습기 등을 선택적으로 내보낸다.
2. 해독성이다. Detoxification - Repentance
3. 정화성이다. Purification 성결성
4. 향기성이다. Fragnance 변화작용이다. 몸에 좋은 유산균 활동이다.
5. 본향성이다. Nostalgic Homeland 향수를 자극한다.
5. 영향성이다. Influence 자연 환원성인 토화 현상을 일으켜 환경보호에 좋다.
    * 새 부대 교회론-“새 술은 새부대에”
     마가복음 2:10~22 벗어던지고 새 생명 되신 예수님을 담으라.


Ch 6 –바구니 교회 Basket Church: Sharing Church
'그러나'라는 토를 달며 '예' 없이 사역 ? Worked with 'but' the Term without 'Yes' in the Church ?
9 여기 한 아이가 있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나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
9 "Here is a boy with five small barley loaves and two small fish, but how far will they go among so many?“
교회가 세상인들이 볼 때에는 아주 연약하고 작아 보이는 바구니일 것이다.
바구니는 아주 작은 것이라도 아주 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적은 5병2어를 담는 바구니 역할 (Roles of Basket)이 있다?
13 So they gathered them and filled twelve baskets with the pieces of the five barley loaves left over by those who had eaten.
첫째, 구별하는.   To  separate
둘째, 담아놓아 고르게 하는.   To keep
셋째, 분배하여 전달하는.   To deliver
넷째,  생명 전달하는.  To preach
생명의 떡이신 예수님이 공급되는 곳으로서의 모습을 지녀야 한다.
이 떡은 우리를 구원하는 유일한, 계속적으로, 생명의 파워를 준다.


Ch13-대야 교회 Basin Church : Washing Church                                                          다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