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Q Ubiquitous Network Mission 선교본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선교
In the Changes of the world, changes of society, economic and culture of the recent as a social networks society through the Internet revolution, in online was the era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 that can relate to an unspecified others. Such a network culture has created a newly coined phrase word Ubiquitous.
세상의 변화 속에서 최근의 사회 문화 경제의 변화는 인터넷 혁명을 통한 사회적인 네트워크 사회로서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인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문화는 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내었다.
a. Definition & Features of Ubiquitous 유비쿼터스 정의와 특징
Ubiquitous the term was derived from the Latin meaning 'when everywhere is.' This is meaning 'widely there is', 'universally there is.' If this means is applied the computer culture, the user is not aware of a network or computer and regardless of place means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freely access the network. Conjunction with this, Mark Weiser first proposed the concept of ubiquitous computing and referred to 'the third wave' this.
The true meaning of the ubiquitous is to create a new paradigm on terms of all society in the field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 Everything should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ubiquitous and the field is not specific areas, and kept the universality that includes all areas that was consisted of the traditional society. Ubiquitous, network is called in everywhere present were pointing a PC network as well as TV, game consoles,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car navigator, sensors etc. on the desk, and not PC, all the non-PC instruments networked in anytime, anywhere, all large networks available, and can communication in the low rates.
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말은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편재하다‘, ’보편적으로 존재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이 의미는 컴퓨터 문화에 적용되면,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말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마크 와이저(Mark Weiser)는 유비쿼터스 컴퓨팅(Computing)이란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고 이를 ‘제 3의 물결’이라고 지칭하였다.
유비쿼터스의 진정한 의미는 정보 통신 관점에서 모든 사회분야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는 것이다. 모든 것은 유비쿼터스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되어야 하며 그 분야는 특정 분야가 아니며 기존의 사회에 구성되어 있는 모든 분야를 포함하는 보편성을 지니었다. 유비쿼터스, 모든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라는 것은 책상 위에 있는 PC 네트워크화뿐만 아니라 TV, 게임기, 휴대전화, 휴대용 단말기, 카 네비게이터, 센서 등 PC가 아닌 모든 비 PC 기기가 네트워크화 되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대용량의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고, 저 요금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었다.
And ubiquitous world does not even recognize in network access, using the computer, and there are characterized to change the provided services depending on the situations. The outbreak of the 1990s digital revolution began to be incorporated into recent home network in instruments of the home that was connected individually to an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Thus trends of automatically networking spread into the home now beyond the factory and office, then changes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economic structure, and companies to adapt on this survive, but the invincible economic institutions and social organizations is facing on the crisis or disappeared.
그리고 유비쿼터스 세계는 네트워크 접속,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인식조차 없고, 상황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90년대 발발한 디지털혁명이 외부 정보통신망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가정 내 기기들이 최근 홈 네트워크로 통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자동화 네트워크화의 흐름이 공장과 사무실을 넘어 이제 가정으로 확산되어 산업구조 경제구조도 변화되었고, 이것에 적응하는 기업은 살아남고 무적응하였던 경제기구들과 사회기구들은 위기에 직면하거나 사라지게 되었다.
Ubiquitous features can be read from "the elements beyond the contextualization as a co-presence, nonlocal non-place, and real virtuality, the great equality, mechanism gift giving, emoticon = emotion +icon, anonymity, and multi and experimental life"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community. Modern is already changing in this world. The big proposition of ubiquitous is to dwell in Chip in all things. In all things we see is to dwell in chips, and ubiquitous did to have the chip in all things as all kinds of book, bed, chair, boiler, vehicle, refrigerator, light, things have the design. The chips is called RFID, and the chip was low power chip that is made to the size of less than 1㎤. Things to dwell in chips be a computer humans were living in a computer. In other words, all things is to think to is associated with computers.
유비쿼터스 특징은 네트워크 공동체의 특성인 “공존(Co-presence), 비국소적 비공간(Nonlocal Non-place)으로 상황화를 뛰어넘는 요소이고, 현실적인 가상(Real Virtuality), 위대한 평등자, 선물주기 메커니즘, 이모티콘(Emoticon=Emotion +icon), 익명성, 다중적이고 실험적인 삶”에서 읽어낼 수 있다. 현대는 이미 이러한 세계로 변화되고 있다.
유비쿼터스의 대명제는 모든 사물에 칩이 깃든다는 것이다. 우리가 보는 모든 사물에 칩이 깃들게 되고, 책, 침대, 의자, 보일러, 차량, 냉장고, 전등, 모든 사물이 디자인을 가지듯이 유비쿼터스는 모든 사물에 칩을 가지게 하였다. 그 칩은 RFID라고 하며 1㎤이하의 크기로 만들어지는 저 전력 칩이었다. 칩이 깃들게 되는 사물은 모두 컴퓨터가 되며 인간은 컴퓨터 속에서 살게 되었다. 즉 모든 것은 컴퓨터와 연관되어 생각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opinion of President of the Korea Ubiquitous Society and professor of Korea University Chang Deok Jeong are four kinds of key to understand the ubiquitous era, "The first, Service: must be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the second, Digital: is techn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e third, Network: connect to the whole world by WWW (World Wide Web), and the fourth, Integrated: refers to the role of the community through integration." That is, the ubiquitous has been forced to be strong the role of the tool. In things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revolution are three principles as the following:
한국 유비쿼터스 학회 회장이시며 고려대학교 교수인 정창덕의 견해에 의하면, 유비쿼터스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네 가지 키(Key)는 “첫째, 봉사(Service): 개인적 요구를 맞추어 주어야 하며, 둘째, 디지털(Digital):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며, 셋째, 네트워크(Network): WWW(World Wide Web)로 전 세계를 연결하며, 넷째, 통합(Integrated): 통합을 통한 공동체의 역할”을 말한다. 즉 유비쿼터스는 도구의 역할이 강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 네트워크 혁명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법칙이 있다.
"First, the theorem of Gorden Moor.
As the law that the power of computer is doubling every 18 months, a co-founder Gordon Moore of Intel claimed at first, and is still approximately correcting. This law every 18 months, the same value can buy a double powerful computer or to be interpreted the way a computer half price falls every 18 months.
Second, the theorem of Mat Calpi.
As the law that the value of a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number of the user has been put forward by Mat Calpi the founder of the Ethernet local area network. As the law t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people that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a network to form a network to be connected the many people suggests that measure to gauge success and failure of company.
Third, the theorem of John Cao.
As the law that creativity is proportional to the exponential function to the diversity to be connected to a network is the law advocated by management consultant John Kao. Until now is less attention than the theorem of Gorden Moor or the theorem of Mat Calpi, which creative knowledge production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each area of social and economic will emerge important the law to penetrate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future."
"첫째, 무어(Gorden Moor)의 법칙.
컴퓨터의 파워가 18개월마다 두 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으로 인텔의 공동 설립자 고든 무어가 처음으로 주장했으며, 지금까지도 대략 들어맞고 있다. 이 법칙은 18개월마다 같은 값으로 두 배로 성능이 좋은 컴퓨터를 살 수 있다거나 18개월마다 컴퓨터 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식으로 해석된다.
둘째, 메트칼피(Mat Calpi)의 법칙.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근거리 통신망 이더넷의 창시자 메트칼피에 의해 제창되었다. 네트워크에 기초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특히 주목해야 할 법칙으로 많은 사람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기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잣대가 됨을 시사한다.
셋째, 카오(John Cao)의 법칙.
창조성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양성에 지수함수로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경영 컨설턴트 존 카오가 제창한 법칙이다. 이는 지금까지 무어의 법칙이나 메트칼피의 법칙에 비해 덜 주목받았지만 창조적인 지식 생산이 사회와 경제의 각 영역에서 점차 중요하게 되면서 앞으로 지식기반사회를 관통하는 중요한 법칙으로 부상할 것이다."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network revolution with this law led to the globalization of 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capital and the economy by the colonial pioneer, shrinking of internationalization by a World War I, II, promotion of internationalization by sailing of Breton Woods Agreement (1944) and GATT system (1947), liberalization of financial and trade by sailing (1995)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system,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and Telstar communications satellite launching (1962)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was at last accomplished.
이와 같은 법칙을 지닌 네트워크 혁명의 기술 발전은 미디어와 통신기술의 세계화를 가져왔다. 예를 들면, 식민지 개척에 따른 자본과 경제의 국제화, 1, 2차 세계대전으로 국제화 위축, 브레튼 우즈(Breton Woods) 협정(1944)과 가트(GATT) 체제(1947) 출범으로 국제화 촉진,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출범(1995)으로 금융 및 무역의 자유화,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국제화 가속, 통신위성 텔스타 발사(1962)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The start in the revolution of the Computer networking and network began as a computer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our features of the computer appeared in digitization, integration, increases of operation data storage transmission capacity, computer networking. These developments bring the integration of the media, and interfaces between technology of the three areas of computer, communication technology, media and broadcasting is increasing, and then was a great deal of compatibility. The computers and telephones, the computers and newspapers broadcasting, the computers and movies that people use were combined. The wall of newspapers and broadcasters has been falling apart, and the wall between readers and creators, viewers and producers tended to disappear. The necessity is tending to have to use this ubiquitous cultural situation to the mission.
컴퓨터 네트워킹과 네트워크 혁명의 시작은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면서 시작되었다. 컴퓨터의 네 가지 특성은 디지털화, 통합, 연산·데이터 저장·전송 능력의 증가, 컴퓨터 네트워킹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달은 미디어 통합을 가져와 컴퓨터, 통신 기술, 미디어와 방송이라는 세 가지 영역의 기술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증가하고 호환성이 커지게 되었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와 전화, 컴퓨터와 신문·방송, 컴퓨터와 영화가 결합되었다. 또 신문과 방송의 벽이 와해되고 있고, 독자와 제작자, 시청자와 제작자 사이의 벽이 없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문화상황을 선교에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oday's new economy is an informational, and then creating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is to determin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The new economy is in the whole earth, financial markets, science technology,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and services, production and the secondary network, communication media, high-skilled labor became to exist now as a global scale. This also making an agreement of FTA Korea in 2011 has been embodied in.
Furthermore, new economy networked, and in the core of new economy exist network companies, large companies consists of internal network, and small companies are connected to these networks was real with not surprising. This globalization became a way to escape to a single cultural prejudice as a variety of people get to gather together people.
오늘날의 신경제는 정보적(Informational)이어서 지식을 만들어내고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결정하고 있다. 또 신경제는 전 지구적이고, 금융시장, 과학기술, 상품과 서비스의 국제교역, 생산과 그 보조 네트워크, 통신미디어, 고숙련 노동력이 이제 전부 전 지구적 규모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것은 한국에도 2011년 FTA 협정체결로 구체화되고 있다.
나아가 신경제는 네트워크화 되어 있고 신경제의 핵심에는 네트워크 기업이 존재하고, 큰 회사들은 내부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고, 작은 회사들은 이러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은 놀라운 일이 아닌 실제가 되었다. 이러한 세계화가 다양한 사람들을 함께 모이도록 함에 따라 단일 문화적 편견을 사람들이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갖게 되었다.
b. Necessity of Mission Grafting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 of Ubiquitous
유비쿼터스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선교 접목의 필요성
David J. Hesselgrave stressed that are person to preach the Gospel to the world. And can evangelize the world, and also should evangelize the world. This mission can be learned that world companies is centralizing supply system to apply of the network for the globalization of production. 80 to 90 percent of information haunting cross-border is exchanging the information within companies.
In addition,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increased at a rate three times higher of trade. As a result, it occupies 2/3 of trade goods services about 40,000 transnational corporations. Furthermore, the globalization of financial also moves to a large area of the margins along the communications networks, and the globalization of finance to financial liberaliza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orld financial markets have reached at $ 1 trillion for the volume of business of 1 day.
헤셀그레이브(David J. Hesselgrave)는 “우리는 세상에 복음을 전해야 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우리는 세상을 복음화 할 수 있고, 또 세상을 복음화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명을 세계기업들이 생산의 세계화를 네트워크 활용으로 공급체계 일원화하고 있는데서 배울 수 있다. 국경을 넘나드는 정보의 80~90% 기업 내 정보 교환을 하고 있다.
또 해외 직접 투자가 교역의 3배 이상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4만여 개 초국적 기업 상품·서비스 교역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또 나아가 금융의 세계화도 통신 네트워크를 따라 이윤이 큰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고, 금융 자유화로 금융의 세계화가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기여하였다. 세계 금융시장 1일 거래량 1조 달러에 이르고 있다.
There are 10 big law of the new economy of Economist, Kelly (Kelly) to be associated with the network as follows: ① Use the power of a networked group. ② Establish single large network. ⑤ Develop a first value of the network. ⑦ Get to think the whole globe and act. ⑧ Invest not in harmony, but the flow. Here Christian mission also is networked, then has emerged to need to develop a methodology of mission to evangelize all nations. The Lord responded, "Go to all nations," also going by network contains all the command.
경제학자인 켈리(Kelly)의 신경제 10대 법칙 중에 네트워크와 관련된 것으로 “① 네트워크로 연결된 무리의 힘을 이용하라. ② 대규모 단일 네트워크를 구축하라... ⑤ 먼저 네트워크의 가치를 키워라... ⑦ 지구 전체를 무대로 사유하고 활동하라. ⑧ 조화가 아니라 흐름에 투자하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기독교선교도 네트워크화 하여 모든 족속을 복음화 시키는 선교방법론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부각되고 있다. 주님은 “모든 족속에게 가라”고 하였는데 네트워크로 가는 것도 다 포함된 명령인 것이다.
Social networks have become as important as the counter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Moreover, the network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control society. Network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a social group. Ubiquitous network mission is managed by the mission headquarters can see the necessity from rise of the horizontal network and the collapse of vertical hierarchy. The development of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wide spread of the Internet dropped the external adjustment costs for outsourcing, and then collapse the vertical hierarchy and has spread horizontal network.
Mission headquarters and missionary go to the ends of the earth in the Gospel underpowered to be able to touch Christ as coming in the flesh of the people the truth in it is intended to create a cultural incarnation is significant. In this respect, the advantages of internet mission is incarnational and then have the horizontal and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an be presented as a solution to deal with the uncertainty and rapidly changing needs of locals and missionaries.
사회적 네트워크들은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창구만큼이나 중요하게 되었다. 더욱이 네트워크는 사회를 제어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네트워크는 사회그룹을 형성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선교본부가 주관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선교는 수평적 네트워크의 부상과 수직적 위계의 붕괴에서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세계적인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광범위한 확산은 아웃소싱(Outsourcing)을 위한 외적 조정비용을 떨어뜨려 수직적 위계를 붕괴시키고 수평적 네트워크를 확산시키고 있다.
선교본부나 선교사는 낮아져서 땅 끝까지 가거나 복음에 접할 수 있게 하는 자로서 그리스도가 육신을 입고 사람들 가운데 오신 것처럼 그 속에 의도된 진리는 문화적 성육신을 의미 있게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인터넷 선교의 장점은 성육신적이어서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 구조를 지니게 되어 불확실성과 급변하는 현지인과 선교사들의 요구에 대처하는 해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c. Appropriate Mission Strategy to Ubiquitous New Culture View
유비쿼터스 새 문화 가치관에 적합한 선교전략
In modern network society, the centric authority does not exist anymore such as science, and then the value was emerged in central values such as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choice, self-expression, happiness. When look into the identity of women in emerging identity newly from the network revolution, global communications and media has been actively disseminate of the message of equality of sex and women's liberation to the third world, and then the emancipation of women has become a solid trend in the network revolutionary era.
현대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과학과 같은 중심적 권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개개인의 삶의 질, 선택, 자기표현, 행복 같은 가치관이 중심적인 가치관으로 부상하였다. 네트워크 혁명으로 새롭게 부상하는 정체성에서 여성 정체성을 보면, 범세계적인 통신과 미디어는 성의 평등과 여성해방의 메시지를 제 3세계에 적극적으로 전파되어 여성해방은 네트워크 혁명시대에 확고한 경향이 되었다.
In addition, the radical individualism appeared. These kept the motto the 'Fight for your life.' And the other risk and fragmented life have made feature, in cas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e graduate of college until retirement, the statistics are changed three kind of jobs, changed 12 times place of work. Modern is that life are so dangerous, moment, experimental, split in pieces, and wandering life. Ubiquitous mission is a need to recognize of the multiple identities. Network society is not integrated into identity of one, in each other go around a different functional world, and is living in people who are involved in moments each world. In addition, kept the identity has to make. Modern identity is not fixed, but is being asked to create time to time.
또한 급진적 개인주의가 나타났다. 이들은 ‘너 자신의 삶을 위해 싸워라.’는 모토를 지니었다. 또 하나 위험하고 조각난 삶이 특징을 이루었는데, 미국과 영국의 경우 대졸자가 퇴직할 때까지 직종을 3번 바꾸고 직장을 12번 바꾼다는 통계가 있다. 현대는 이렇게 삶이 위험하고, 순간적이고, 실험적이고, 조각나고, 떠돌아다니는 삶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비쿼터스 선교는 다중적(Multiple) 정체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사회는 개인이 하나의 정체성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고, 서로 다른 기능적 세상을 돌아다니면서 순간순간 각각의 세상에 관여하는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다. 또 만들어가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현대인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만들어야 할 것을 요구 받고 있다.
Moreover, in an era of helplessness and uncertainty, interrelated society whole globally became into existence outside our individual control. It also appeared cooperative and altruistic individualism, and then a new community is 'the cooperative individualism' or 'the altruistic individualism', for the best my interests in the world of the revolution of network, became the necessary conditions which the social network of interdependence and coexistence was created.
This one kind thing to remember, as Eugene A. Nida mentioned it effective communication should be based on necessarily personal friendships, and initially within their family group need to access those who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communication. It is a challenge for changes of the faith or behavior to the ability socially a person or group to make such decisions should be the focus. In Ubiquitous mission need to be careful these side.
더구나 무기력과 불확실성의 시대로 전 지구적으로 상호 연관된 사회는 우리 개개인의 통제 밖에 존재하게 되었다. 또한 협동적이고 이타적인 개인주의가 나타나 새로운 공동체주의는 ‘협동적 개인주의’ 또는 ‘이타적 개인주의’로 네트워크 혁명의 세상에서 내가 잘되기 위해서는 상호의존과 공생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만들어지는 것이 필수조건이 되었다.
여기서 한 가지 기억할 것은 유진 니다(Eugene A. Nida)가 언급한 대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반드시 개인의 우정을 바탕으로 해야 하고, 초기에는 그들 가족 집단 내부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신앙 또는 행동의 변화를 위한 도전은 사회적으로 그와 같은 결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 혹은 집단에게 맞춰져야 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선교에서 이러한 면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d. Headquarter Ubiquitous Network Community Mission Potential
본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공동체 선교 가능성
The network of the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 symbol of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made possible the network community based o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mass media (TV etc.) with contacting everyone made the public with equal quality through the broadcasting to share all nationally perspectives, whereas the Internet took off popularization by narrowcasting the multilateral vision the public community.
Here way of saving all the advantages of each cyber communities and online communities has made to a multicultural community. These multicultural communities have the advantage to pull walls down each people. This network mission can do to spread which the Christian have done good works in a area and a country, then have been able to do mission to use these cultural industries. This possibility can look at advantages of the online communities and offline communities. In the online, the overcoming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more powerful community memories, new relationship, and was possible to test the identity. on the other hand, in the offline intimate of the members, familiar,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group feedback was possible.
현대의 문명발달의 상징인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통신기술 네트워크는 컴퓨터가 매개하는 통신에 기초한 네트워크 공동체를 가능케 하였다. 모든 사람들이 접하고 있는 “대중매체(TV 등)는 거국적 관점을 공유하도록 하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을 통해 균질한 대중을 만든 반면 인터넷은 다변적인 시각을 내로우케스팅(Narrowcasting)함으로써 대중공동체를 탈대중화시켰다.”
여기서 사이버 공동체와 온라인 공동체 각각의 장점을 모두 살리는 방법은 다문화적 공동체를 만들게 되었다. 이러한 다문화적인 공동체는 사람들 간의 벽을 헐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게 되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선교는 한 지역, 국가에서 기독교의 선한 일을 한 것을 널리 알리는 일을 할 수 있기에 이러한 문화산업을 이용한 선교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가능성은 온라인 공동체와 오프라인 공동체의 장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온라인에서는 시공간 제약 극복, 공동체 기억 더 강력, 새로운 관계나 정체성 실험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오프라인에서는 구성원 친밀, 숙지, 공동체 책임감, 그룹 피드백이 가능하게 되었다.
Mission headquarters ubiquitous mission possible due to diffusion of the Internet all the people in the world increased the uncertainty of life and the risk of social life to generalize of mutual influence and interdependence. Hereupon understand intuitively operating principle of the network world, and create of solidarity of the opened network, and the role of multicultural intellectuals of actively embracing new technology became important. As here can see, the mission headquarters also were able to direct the work of missions in the network culture era.
선교본부 유비쿼터스 선교가 가능한 것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하여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상호 영향과 상호 의존의 보편화는 삶의 불확실성과 사회의 위험을 증대시켰다. 이에 네트워크 세상의 작동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열린 네트워크의 연대를 만들어가고,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다문화적인 지식인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여기서 보듯이 선교본부도 네트워크 문화시대에 선교의 일을 직접 할 수 있게 되었다.
In the mission field when evangelize the young group difficult to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ir parents, but in the network line makes the collapse of the boundary (country, time, heart, family), then breaks down of all the boundaries of the world, and have made the new boundaries. In addition pull down the geographic boundaries, at the same time has doubled the importance of the close proximity. And then was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multinational companies, a spiritlessness of the nation. And wa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e unusual thing fell apart the collapse of the boundaries of famil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al and communicational technologies is the context- dependent that its trajectory is drawn by power relations between people and groups who use it rather than a pre-determined in many cases.
선교지에서는 젊은 층을 전도할 때에 그 부모의 간섭으로 인하여 어려운데 네트워크선상에서는 경계의 붕괴(국가· 시간· 중심· 가족)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상의 온갖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경계를 이루었다.
또 지리적 경계를 허물지만 동시에 근접한 거리의 중요성도 배가되었다. 다국적 기업에 대한 국제기구, 국가의 무기력이 나타났다.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나타났다. 특이한 것은 가족의 경계 붕괴가 붕괴되었다. “정보통신 기술의 영향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라, 많은 경우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집단들 사이의 권력 관계에 의해 그 궤적이 그려지는 맥락 의존적(Context Dependent)이다.”
Mission headquarters ubiquitous Mission can be seen the possibilities due to the network revolution from the collapse of the four boundaries as follows. Network revolution pulled down various boundaries.
First, is the dissolution of geographical boundaries. Above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pull down geographical boundaries. Far away distance made trifly, nearer distance made a more important. Second, is the dissolution of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Network revolution makes topple the nation by force beyond the borders, made a region states instead of it. The nations have become too enlarge to solve a local problem, too helpless for solving global issues. Third, is the dissolution of the hour boundaries. In the past the news on the case of the other side of the Earth was handed down, took a week, and now there is little time difference. Near past combined with the current, and a little distant past is gone of meaning. Fourth, is the reconstruction of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Modern man is the live broadcasting through the webcam and the Internet appearance of his lives, and puts their very personal stories on the cyber community. And so much the private stories imputing to the public space, and then became different to range of friends of sharing the most privacy.
선교본부 유비쿼터스 선교는 네트워크 혁명으로 인하여 다음의 네 가지 경계의 붕괴에서 그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네트워크 혁명은 각종 경계를 허물었다.
첫째, 지리적 경계의 해체이다. 무엇보다 정보통신 네트워크는 지리적 경계를 허문다. 멀리 떨어진 거리는 사소하게, 가까운 거리는 더 중요하게 만들었다.
둘째, 국가 간 경계의 해체이다. 네트워크 혁명은 국경을 초월하는 힘으로 민족국가를 붕괴시키고 대신 지역 국가(Region States)를 탄생시켰다. 국가는 국지적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너무 비대해지고, 범세계적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너무 무기력해졌다.
셋째, 시간 경계의 해체이다. 예전에는 지구 저편의 사건에 대한 뉴스가 전해지는데 1주일이 걸렸다면, 지금은 시간차가 거의 없다. 가까운 과거는 현재와 합쳐지고, 조금 먼 과거는 의미가 없어졌다. 넷째,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재구성이다. 현대인은 자신이 사는 모습을 웹캠과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하고 있으며 사이버 공동체에 자신의 매우 사적인 이야기들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이처럼 사적인 얘기가 공적 공간으로 올라가면서, 사생활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친구들의 범위도 달라졌다.
If the method of ubiquitous mission apply to the ministry would be a big help in establishing mission spirituality to an era. It is because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network all the world area. Efficient mission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the Church publicity using U-Mobile, the Saints management, U-Church planting and growth, the mission policy of the headquarters of and the strategy delivery, video delivery etc. to the mission field can be applied.
유비쿼터스 선교방법을 사역에 적용을 하면 시대에 맞는 선교영성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 세계 지역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 선교, U-Mobile을 이용한 교회 홍보, 성도관리, U-Church 개척과 성장, 본부의 선교정책과 전략 전달, 선교지에 동영상 전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In Chapter 4 of Hoi Chang Kim's 'Apostle Spirituality, Established Mission Leadership (사도영성),' for the first time was used 'Ubiquitous Spirituality' term. Judas Iscariot among the apostles of Jesus acted to ignore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and then betrayed Jesus at the silver 30. The Apostle Thomas had in doubt, skepticism, he had received a rebuke of Jesus "Because you have seen me, you have believed; blessed are those who have not seen and yet have believed" (John 20:29). In Jesus refers to "And if anyone gives even a cup of cold water to one of these little ones because he is my disciple, whoever in the name of a disciple of this device gives even a cup of cold water to a man" (Matthew 10:42), at once "you did for me."(Matthew 25:40) is reported to be infused with the ubiquitous mission spirituality.
김회창의 '선교지도력을 세운 사도영성' 제 4장에 최초로 '유비쿼터스 영성'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예수의 사도 가운데 가룟 유다는 성령의 인도를 무시하고 행동하다가 예수를 거스르고 은 30에 파는 자가 되었다. 또 사도 도마가 의심, 회의를 가졌었는데 "너는 나를 본고로 믿느냐 보지 않고 믿는 자들은 복되도다."(요 20:29)라고 예수의 책망을 받았었다. 예수의 “또 누구든지 제자의 이름으로 이 소자 중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자는”(마 10:42) 곧 “내게 한 것이다.”(마 25:40)는 언급에도 그 유비쿼터스 선교영성이 깃든 것으로 보고 있다.
Eugene H. Peterson used in the title of the book the term 'Christ Plays in Ten Thousand Places: A Conversation in Spiritual Theology'. He looked reality into the world of God, and explained by three kinds. He solved in First, Christ who play in the creation - the sabbath and admiration. Second, Christ who plays in the history - communion and treatment. Third, Christ who play in the community - baptism and love. God is anywhere, can see that is not the omnipotent of God have not affect on anywhere.
Modern rushed into 'an ubiquitous era.' The era of unrestricted network connection was made 'anytime anywhere'. In addition the world was converted to the intangible assets rather than the tangible assets, connecting rather than having. This is clearly positivity of the ubiquitous mission. If also in the Mission headquarters utilize the mission policy to apply advantage of the ubiquitous civilization will be able to approach many literate stratum and young group. In addition, at the headquarters have an active interest in mission, and will appear the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interest and the support on the missionaries in the mission field
유진 피터슨(Eugene H. Peterson)은 '현실, 하나님의 세계‘라는 말을 책 제목으로 사용하였다. 그는 현실을 하나님의 세계로 보면서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창조 안에서 놀이하시는 그리스도-안식일과 경탄. 둘째, 역사 속에서 놀이하시는 그리스도-성찬과 손 대접. 셋째, 공동체 안에서 놀이하시는 그리스도-세례와 사랑.”으로 풀었다. 이것을 보면 하나님은 어디에도 다 계시고 어디에도 하나님의 전지전능하심이 못 미친 곳이 없음을 볼 수 있다.
현대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돌입하였다. ‘언제 어디서나’ 제한 없는 네트워크 접속이 이루어지는 시대가 되었다. 또 유형 자산보다는 무형자산, 소유보다는 접속으로 전환된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것은 유비쿼터스 선교의 긍정성을 분명하게 하고 있다. 선교본부에서도 유비쿼터스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는 선교정책을 활용한다면 많은 식자층과 젊은 층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부에서 선교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선교 현지에 나가있는 선교사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 자세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In A STUDY OF THE STRATEGIC MISSION POLICY FOR THE OVERSEAS MISSION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RELATIONSHIP TO CONTEXTUALIZATION OF
OMS MISSION LEADERSHIP
By HoiChang Kim , D. Miss 논문 / Grace Theological Seminary (IN)
'Mis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clesiology for Mission Based on the Gospel of St. John 사도 요한복음의 선교적 교회론 (0) | 2014.06.30 |
---|---|
군사랑선교회 2대 회장 김회창 목사 취임 - Koreatimes LA (0) | 201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