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S 동양선교회와 성결교회 선교정책

동양선교회OMS가 적용한 예수의 선교 리더십 상황화Contextualization 이해

ULI 2012. 7. 1. 01:08

 

ANALYSIS on TREND OF THE STRATEGIC MISSION POLICY OF HOLISTIC CO-OPERATIVE MISSION THAT OMS ACHIEVED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LEADERSHIP WITH KEHC

동양선교회가 성결교회와의 선교 리더십 상황화를 이룬

통전적 협력선교전략적 선교정책 동향 분석

 

As OMS did missionary work in Korea, they hung out a sign of Evangelism Hall in MookyoDong, Korea, making Korean Bin Jung and Sang Joon Kim go ahead. When discussing about cooperative mission on contextualization in this chapter, identity status correct and sister mission agreements of the first OMS according to the growth of KHC (KECH) would discuss. Also, as organizing problems and well-coordinated parts, conflicts and resolution of KHC (KECH) and OMS lined up historical identity were tried to discuss. I would tried to analyze about the trend of mission policy of holistic cooperation mission strategy, which OMS completing mission leadership contexualization with KHC (KEHC).

동양선교회(OMS)가 한국에 선교를 하면서 한국인 정 빈 김상준을 앞세워 한국 무교동에 복음전도관 간판을 달고 전도하였다. 여기서 협력선교 상황화를 논할 때에 성결교회의 성장에 따른 최초의 동양선교회의 정체성 위상정립 및 자매선교협정 등을 살펴보려 하였다. 또한 그 문제점과 잘 협력된 부분들을 정리하여 역사성 을 같이 해 온 성결교단과 동양선교회의 갈등과 해결 등을 논하려 하였다. 동양선교회가 성결교회와의 선교 리더십 상황화를 적게나마 이룬 통전적 협력선교전략적 선교정책 동향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A. Understanding on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Leadership of Jesus That OMS Adapted on

동양선교회가 적용한 예수의 선교 리더십 상황화 이해

 

1. The Core Studies on Leadership Contextualization

리더십 상황화 연구 핵심들

In the mission field, the problem of the leadership transfer wa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the case of the OMS who wish to study the transfer of leadership, they transferred some through conflicts and cooperation with the leaders of KHC (KECH) about the problem of the leadership transfer contextualization.

선교지에서도 리더십 이양의 문제는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로 나타났다. 리더십 이양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동양선교회의 경우도, 리더십 이양 상황화 문제로 선교지인 한국성결교회 지도자들과 여러 차례 갈등과 협력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이양하였다.

 

Applied to the OMS leadership model to study was appeared on Mark 10:45 “For even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Jesus lived in the bible was regarded as a basis and purpose of church leadership. One of Jesus showed as coming to this earth wearing the human body was a served servant. Thus, Jesus lived a life of servant leadership, taught about spiritual leadership of the kingdom of God to his disciples. As Augustin wrote the city of God, a church leadership as the kingdom of God was seen with the vertices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oday, mission leaders should accept it as a model, and were necessary to have servant leadership with love.

동양선교회에 적용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리더십 모델은 마가복음 1045절에서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에 나타났다. 그 말씀대로 산 예수를 교회 지도력의 기본이요 목적으로 삼았다. 예수는 인간의 몸을 입고 이 땅에 오셔서 보여 주신 중요한 모습 중의 하나는 섬기는 종으로서의 모습이었다. 이처럼 예수는 섬기는 지도자의 삶을 살았고, 그 제자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영적 리더십에 대해서 가르쳤다.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도성을 쓰면서 십자가와 부활의 예수 그리스도를 정점으로 하는 하나님의 나라로서의 교회 리더십을 보았다. 오늘날 선교 지도자들은 그것을 모델로 삼고, 사랑으로 섬김의 리더십을 본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Furthermore, most beautiful thing in the leadership was Jesus commissioning for feeding God’s sheep through John 21:15-17. According to Luke 22:29, the greatest transferring leadership was the best result of servant leadership, and which he kept said "I confer on you a kingdom, just as my Father conferred one on me."

나아가 리더십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예수가 요한복음 2115부터 17절에서 보여준 주의 양을 먹이도록 위임해 주는 리더십이었다. 가장 위대한 리더십인 이양은 누가복음 2229절에 하나님 아버지께서 자신에게 맡기신 것처럼 자신도 제자들에게 맡긴다고 한 것을 지킨 것은 섬김의 리더십의 종결이었다. D 91

 

For mission agencies and churches,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time contexualization of the transferring leadership that Jesus is a body of church, and is appeared as lord of mission in the mission fields.

여기 선교단체와 교회는 리더십을 이양하는 시기 상황화를 적절히 파악하여 교회의 몸 되고 선교의 주장자 된 예수를 진정한 선교현장의 주로 드러내는 위임의 리더십이 중요하였다.

 

First, OMS adopted holistic cooperative mission with KEHC as leadership contextualization mission. Second, OMS had a hard time about the time of the transferring leadership contextualization because of special Korean situation.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issionaries as incarnational attitude was needed to do mission activity to get respect and confidence as appreciating others and authorizing work

첫째, 동양선교회는 리더십 상황화 선교로 본 성결교단과 통전적 협력사역의 길로 갔다. 둘째, 동양선교회는 리더십 상황화로 이양 시기에 대하여 한국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여 적기 리더십 이양에 힘들었다. 선교사역자들은 성육화 된 자세로 인터컬쳐럴 커뮤니케이션(Intercultural Communication) 선교가 되어 상대방을 인정해 주고 일을 하게끔 위임해 주어 존경과 신임을 받는 선교행위가 필요하였다.

 

2. Understanding on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Leadership That Jesus Adapted on

상황화하신 예수의 선교 리더십 이해

Charles R. Taber published the article ‘contextualization:Indigenization and/or Transformation’ in 1979. He mentioned as comparing indigenization with contextualization. It said that Contextualization is a try for using the achievement of indigenization, correcting the mistake and prejudices, and attempting to fill the gaps. He saw contextualization in more complete sense. Dean S. Gilliland said that contextualization was incarnational and contextual theology will open the way for communication of Gospel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o the listeners.

찰스 태버(Charles R. Taber)1979년에 상황화: 토착화와 변혁’ (Contextualization: Indigenization and/or Transformation)이라는 주제의 글을 게재했다. 거기서 태버는 상황화를 토착화와 대조하여 언급하였다. 상황화는 토착화의 성취를 이용하고, 잘못과 편견을 바로잡으며, 간격을 채우는 시도라는 것이었다. 그는 더 완성적인 의미에서 상황화를 보았다. 길릴랜드(Dean S. Gilliland)는 상황화가 성육신적이었고, 상황적 신학은 듣는 자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복음의 소통을 위한 길을 열 것이라고 했다.

Stephen B. Bevans of conservative evangelicals published his book ‘Models of Contextual Theology’ in 1992. Also, E. Hall, on the first his book ‘The Silent Language’ in 1956, dealt with the most effective way to identify hidden faces to even oneself through an attitude accepting other cultures seriously. This brought a big change to the local contextual understanding for establishing mission leadership.

보수적인 복음주의 진영의 베반스(Stephen B. Bevans)1992년도에 그의 저서인 상황화 신학(Models of Contextual Theology)을 출판했다. 또 홀(E. Hall)은 첫 번째 저서 침묵의 언어(The Silent Language, 1956)에서 다른 문화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통해 자신에게조차 숨겨진 면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다루었다. 이것은 선교 리더십을 정립하는데 현지 상황이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D 92

Bevans thought that contextualization includes social, political, economic problems through broaden cultural understanding, on the other hand, indigization focus on purely cultural dimension of human experience. Also, he thought that contextualization must be balanced. David J. Hesselgrave summarized about contextualization. Contextualization is faithful to the revelation of God (as it is suggested in the teachings of the holy bible), human message, the work of God, the Word of God and the will of God, and considered as an attempt to deliver in a way to give a meaning to them in the cultural, existential situation.

베반스는 상황화가 문화이해의 폭을 넓혀 사회 정치 경제적인 질문들을 포함하는 반면에 토착화는 순수하게 인간 경험의 문화적인 차원들에 초점을 둔다고 보았다. 또 상황화는 반드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상황화에 대하여 헤셀그레이브(David J. Hesselgrave)상황화란 인간의 메시지, 하나님의 사역, 말씀 그리고 그 뜻을 하나님의 계시(특히 거룩한 성경의 가르침 속에 제시되어 있는 대로)충실하면서 응답자들이 처한 문화적, 실존적 상황 속에서 그들에게 의미를 주는 방식으로 전달하려는 시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고 요약하였다.

 

As seeing here, contexualization in leadership is a very important necessary working theology of spiritual understanding for missionaries and all the evangelists. Sherwood G. Lingenfelter in ‘Sharing Power Leadership’ mentioned about mission leadership transferring contextualization. He said that leadership was a very important issue in any application of the contextual principles, and through Protestant and Catholic mission history, it was a long challenge to teach new converts for planting new church.

여기서 볼 때에 리더십에서 상황화는 선교사역자나 모든 복음 전달자에게 있어서 아주 중요한 영적 이해의 필요 신학화였다. 링엔펠터(Sherwood G. Lingenfelter)힘을 나누는 지도력에서 선교 지도력 이양 상황화에 대하여 언급했다. 그는 지도력은 상황화 원리들의 어떠한 적용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이슈였고, 개신교와 천주교 선교역사를 통해서 새로운 회심자가 새롭게 개척된 교회를 지도하도록 위임하는 문제는 오랜 숙제였다고 하였다.

 

As Lingenfelter defined power sharing leadership, he said that a basis of suitable healing should have put Jesus in power and position, and seeking power would lead everyone to all kinds of temptation and evil. He emphasized that in seeking power, a life-changing power of the Holy Spirit, Jesus’ ability to change, and living Word of God have to be focused to have power sharing leadership.

링엔펠터는 힘을 나누는 지도력을 정의하면서 적합한 치유의 근원으로 예수님을 능력과 자리에 두어야 한다고 했고, 권력 추구는 사람들을 모든 종류의 유혹과 악으로 인도하게 될 것이라고 힘을 나누는 지도력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권력추구에서 힘을 나누는 지도력으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이 은혜와 삶을 변화시키는 성령의 능력, 예수님의 변화 능력,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ntinuously, he said that power sharing leadership is sharing power and responsibility to all people and letting them do entrusted task. For the contextual leadership, leadership transfer contextualization was emphasized that leaders have to give up control, who want to share the power.

계속해서 그는 힘을 나누는 지도력이란 힘과 책임감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는 그리고 그들이 위임받은 일을 하도록 풀어주는 지도력을 말했다. 리더십을 상황화하기 위해서 힘을 나누어 주는 자가 되기 원하는 지도자들은 반드시 통제를 포기해야만 한다고 리더십 이양 상황화를 강조했다.

 

And, mission field-center adaptiveness was important for leadership contextualization. About meaning equivalence contextualization, Craft made knew of personal relationship, when christian defending people are personal, its meaning has been passed more easily compared to other methods. Thus, key of contextualization is people having relationship with adapter like key of communication.

그리고 선교지 중심의 수용성이 리더십 상황화에 중요했다. 크래프트는 의미 등가 상황화에 대해서 기독교를 변호하는 사람들이 인격적일 때에 그 의미들이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쉽게 전달되었다. 그래서 상황화의 열쇠는 의사소통의 열쇠와 같이 수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인격적인 관계성을 주지시켰다.

D 93

He claimed that the purpose of contextualization is seeing that the teaching meanings express in the life of adapter, desire to effective attendance for spreading of christianity to be contextualization, it is important that learn to adapter centered communication.

그는 상황화의 목적은 성경이 가르치는 의미들이 수용자들의 삶 속에서 표현되는 것을 보는 것, 상황화 된 기독교를 전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참여를 갈망한다면 수용자 중심의 의사소통을 배우는 것이 중요함을 주장했다.

 

For the communicated mission, control and long-term colonization of the ruling secular political framework can be relieved by thinking basis of leadership. In here, mission leadership contextualization as a servant of Jesus, is to have incarnational certain attitude by reaching that land. Luke 2:41 showed that Jesus was grown as the son of Joseph, worked with a carpenter’s job, and pursued a biblical life. He said “sitting among the teachers, listening to them and asking them questions” in the temple (Luke 2:46), ha asked “Didn't you know I had to be in my father's house?” to his parents (Luke 2:46, 49) and verse 51, Jesus went to home, served as a carpenter and “was obedient to his parents.”

의사소통이 되는 선교를 위하여 리더십의 근원을 염두에 두어야 통제와 장기집권의 식민지적인 세속정치 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여기서 예수의 종으로서의 선교 리더십 상황화는 그 땅에 이르러서는 성육신적인 확실한 자세를 지니는 것이었다. 예수는 요셉의 아들로서 지도받으며 성장했고, 목수의 직업을 가지고 활동했고, 성경적인 삶을 추구했음을 누가복음 241절 이하에서 보여주었다. 그는 성전에 있는 선생들과 듣기도 하고 묻기도 하고”, 그 부모에게는 내가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될 줄을 알지 못하였나이까.”(2:49)라고 했고, 51절에 가면, 예수는 집으로 가서 부모에게 순종하여 받들어 목수로도 섬기었다.

 

Then, in public life, he showed the leadership as frames of serve, love, humility, suffering, and redemption to his disciples, who knows this fact, and in Luke 22:29 and transferred to his trained disciples and ascended to heaven. It was an sign of truly served person. This frame of sixth transferring leadership of Jesus was completion, and this leadership showed sharing the power with the peoples of God. That tasks is not my task, regulate his desires, and receiving was giving back. It suggested as a best conclude of leadership transferring contextualization for mission leader, who acknowledge the great task done by God and believ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그 후에 공생애에서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 제자들에게 리더십을 봉사, 사랑, 겸손, 고난, 구속의 프레임으로 다 보여주었고, 누가복음 2229절에서와 훈련받은 제자들에게 위임하고 승천했다. 이것은 진실로 섬긴 자의 모습의 표지였다. 예수는 이 여섯 번째 이양 리더십 프레임은 완성적인 것이었고, 이 리더십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힘을 나누어주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 일이 내 일이 아니고 욕심을 접고 또 받았으니 돌려드리는 것이었다. 땅히 종이 대과업을 이룬 것 까지도 하나님의 것이라고 하는 절대주권성을 인정했던 선교 지도자가 지녀야 하는 리더십 이양 상황화의 종결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