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거스틴의 하나님의 도성 이해 Augustine's Understanding on the City of God
그가 ?하나님의 도성?에서 사용하고 있는 ‘키비타스’(Civitas)란 용어의 개념을 먼저 살펴보면, 두개의 대 집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이다. 이 두 집단은 역사 속에 존재하고 영원으로 진보하는 사회를 말하는데, 이것은 어거스틴 논지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At first, 'civitas' used in City of God by Augustine means "to represent two large groups which exist in the history and develop toward eternity, building up the main shaft of Augustine's theme."
키비타스는 “부수적인 도시들이나, 세력권 안의 지역과 더불어, 혹은 이런 것들이 없이도 국가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정치적 체계’에 강조점이 있다. 그리고 시민, 시민에게 부과되는 의무와 권리, 이 상태는 예를 들면, 외국인들과 특별한 공민권을 받은 사람에겐 제외가 되었다”고 함으로 어거스틴은 당시의 사람들에게 가장 적절한 이해와 공감을 주는 단어인 키비타스를 사용하여 두 도성을 설명하였다.
'Civitas' can become a state with the accompanied cities or the regions under its control, or without them. Here, it has the focus on 'a political system'. A responsibility and a right imposed on a citizen. For example, this condition was not applied to a foreigner or those who got a special civil right.
가. 하나님의 도성의 성격 A.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God
그것은 다섯 가지 특징으로 요약된다. It summarized in 5 kinds of characteristics.
첫째, 하나님의 도성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께 대한 소망을 토대로 삼아 하나님을 사랑하고 자기를 부정하고, 하나님을 최대의 영광으로 여기며, 지도자와 피지도자들이 사랑으로 서로 섬기는 경건한 지혜를 가진 사람들이다.
First, those who love God and deny self based on the hope for God, regard God as the greatest glory, have the godly wisdom with which the governor and the governed love each other.
둘째, 이 지상에 거하는 동안에 지성과 이성을 통하여 확신된 신구약 성경적인 믿음을 강조하며, 그 믿음으로 안전하다는 것이다.
Second, Augustine's the city of God is told to emphasize the faith in the New and the Old testament secured through the intellect and the reason during living on earth and to keep in safe by that faith.
셋째, 지상에 있는 동안에 순례자로서 지상의 평화를 사용하면서 하늘나라의 평화를 사모하는 공동체이다.
Third, Augustine's the city of God is the community which uses the peace on earth during the lives on earth and looks forward to the peace of the heaven.
넷째, 그 안에 속한 자는 지상 도성에서의 삶에 질서 있는 조화를 목표로 삼으며, 성령의 보증 가운데 살아가면서 지상 도성의 법에 복종할 수 있어야 한다.
Fourth, Augustine also says that those who belong to the city of God should aim to the orderly harmony with the life of the worldly city, and should obey to the law of the earthly city living under the Spirit's guarantee.
마지막으로 그 안에 속한 자들이 그리스도에게 소망을 둔 지상적 예루살렘을 통하여 천상적 예루살렘인 하나님의 도성을 바라볼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는 예루살렘을 하나님의 도성이라고 한다.
Fifth, Augustine says that those who belong to the city of God can look for the city of God, the heavenly Jerusalem through the earthly Jerusalem with hope for Christ.
나. 하나님의 도성의 기원과 발전 B.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of God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도성? 제11권에서 지상의 도성과 하나님의 도성의 기원과 역사와 종국을 설명하면서, 선한 천사들과 악한 천사들을 분리함으로써 두 도성이 처음으로 형성된 이야기를 하며, 창세기 처음에 있는 대로 세계 창조를 다루고 있다.
In the Vol. 11 of City of God, Augustine explains the origin, the history, and the conclusion of the city of God, tells the story about the first establishment of two cities by separating the good angels from the evil angels, and deals with the creation of the world as shown in Genesis at the first.
그는 하나님의 도성의 기원에 대하여 말할 때 아담이 아벨 대신에 낳은 셋을 시조라고 하며, 그가 태어났을 때에 아담은 “하나님이 내게 가인이 죽인 아벨 대신에 다른 씨를 주셨다”(창 4:25)고 한 말씀을 인용한다. 이 셋의 계열은 지상의 낙원으로 있는 하나님의 도성으로, 성경은 “셋도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으며, 그에게는 주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리라는 소망이 있었다”(창 4:24-26)고 한다. 이것은 “은혜로 택하심을 따라”(롬 11:5) 하나님을 부르는 백성이 일어나리라는 예언임을 말하여 주고 있다.
When Augustine refers to the origin of the city of God, he call Seth begot by Adam in place of Abel as the founder, and he quotes Adam's saying "God has granted me another child in place of Abel, since Cain killed him" (Gen 4:25) on Seth's birth. However, he refers to this Seth's line as the city of God, and quotes Bible's saying "Seth also had a son, and he named him Enosh. He had the hope calling the name of God" (Gen 4:24-26). He considers it as the prophesy that the people calling God will rise up "according to the election of grace" (Rom 11:5).
하나님의 도성 사람들은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사람들이라고 한다. 그는 하나님의 도성에 속하게 되는 것은 중생함으로써 그리스도에게 접붙임이 되어야만 선하고 영적인 사람이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제 그는 하나님의 도성의 발전은 역사적으로 아담, 노아, 아브라함, ?하나님의 도성? 제 17권에서 하나님의 도성 역사를 왕조 시대와 선지자 시대로부터 추적하여, 사무엘로부터 다윗에까지, 바벨론 포수, 그리고 드디어 그리스도에게까지 이른다. 또 열왕기, 시편, 솔로몬 문서에 기록된 예언들을 그리스도와 교회에 관련시켜서 해석하고, 최종적으로는 그리스도를 중심 하여 전개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The people of the city of God are those who live according to God's will. He also says that to belong to the city of God is to be grafted in Christ by regeneration to become a good and spiritual one.
And, Augustine, in the Vol. 17 of City of God, traces the history of the city of God during period of the kings and prophets from Samuel to David, even to Christ, and interprets that the prophecies which are recorded in the books of Kings, Psalms, and those of Solomon are related with Christ and the church. Augustine asserts that from the time when holy Samuel began to prophesy, and ever onward until the people of Israel was led captive into Babylonia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나라가 여러 시대를 지나면서 전진하는 동안, 장차 올 것의 그림자로서 다윗이 처음 지상 예루살렘에서 다스렸다고 한다. 이 다윗은 유다 지파이며 그리스도의 선조로서, 다윗 왕국은 하나님의 도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Augustine says that during the city of God pass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David governed the first Jerusalem on earth as the shadow to come, and David is the one from the Judah and the father of Christ, and David's kingdom shows the city of God.
그는 하나님의 도성의 확장을 말하면서 그리스도께서 몸으로 임하였을 때에 알지 못하던 이방인들이 그리스도가 그들에게 선포되었을 때에 믿게 되었는데, “내 풍성을 들은 즉시로 내게 순복하였나이다”(시 18:44)라는 말씀의 성취로 본다. 어거스틴은 혈통과 믿음으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이방인이 첨가되어서 하나님의 도성을 이루며, 이 도성은 이스라엘 사람만으로 구성되었을 때에 육신의 그리스도를 생산하였다고 한다. 어거스틴은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며(시 87:5), 마리아로 말미암아 저 도성에서 사람이 되시기 전에 족장과 선지자들로 친히 하나님의 도성을 세우셨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만물 위에 계셔서 세세에 찬양을 받으실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의 도성을 세우고 주관하는 분이라고 하였다.
Augustine, referring to the expansion of the city of God, regards that Christ's incarnation made the known gentiles believe in Christ when He was preached among them as the fulfillment of the word "in the hearing of the ear it hath obeyed me" (Ps 18:43). Augustine says that the gentiles added to those who are the true Israelites both by the flesh and by faith, is the city of God, which has brought forth Christ Himself according to the flesh. Augustine asserts that Christ, who is God (Ps 87:5), before He became man through Mary in that city, Himself founded it by the patriarchs and prophets. Augustine says that Jerusalem among the Israelites people presented a prophetic figure of the city of God, and Jesus Christ is who is over all, God blessed for ever, the Maker and Ruler of the city of God.
특히 그는 로마제국이 함락되는 이런 특별한 전제하에서 하나님의 도성과 지상도성의 전개 과정을 통하여 그 시초부터 종말까지 세상 나라들의 운명을 지배하는 하나님의 섭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도성과 지상 도성의 개념은 근본적으로 성경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거룩한 도성 예루살렘이 바벨론, 즉 로마 제국과 대조됨을 말하고 있다.
That is, under the special premise of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e tried to explain God's providence to govern the fate of the earthly citie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city of God and the earthly city. Here, Augustine says that the concept of the city of God and the earthly city is basically based upon the Bible and the holy city, Jerusalem contrasts with Babylon, the Roman empire.
그러므로 하나님의 도성의 기원과 발전에서는 가인이 죽인 아벨 대신에 얻은 셋을 조상으로하여 전개되는데 예루살렘 중심적이고, 그 도성은 다윗의 혈통으로 나신 그리스도 중심적으로 확장되며, 그리스도께서 처음부터 친히 세우시고 주관하심을 보여주고 있음으로 나중에 논하게 될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교회와 연관이 깊음을 볼 수 있다.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of God is developed from the father, Seth begot in place of Abel killed by Cain, expanded centered to Jerusalem and Christ from the line of David, and Christ Himself found and ruled this city, which is related with the church founded by Christ that will be treated with in the followings.
다. 하나님의 도성의 승리 C. Victory of the City of God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도성? 제 19권에서 하나님의 도성의 종국을 논한다. 제 22권에서는 하나님의 도성의 승리인 성도의 영원한 복음을 논하며, 몸의 부활을 확정하고 설명하면서 어거스틴은 성도가 영원하고 영적인 몸을 입고 무슨 일을 하면서 지낼까도 밝힌다.
Augustine tells the future of the city of God in the Vol. 19 of the City of God. In the Vol. 22, Augustine tells the future of the city of God and the eternal gospel of the saints, and, confirming and explaining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clarifies what the saints with the eternal and spiritual body will live to do.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도성에서는 궁극적으로 최고선을 소유하려 하는데, 이것은 행복한 평화와 평화로운 행복을 말하며 완전하고 영원한 평화를 목표한다고 한다. 그는 하나님의 도성에서의 최고악과 최고선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어거스틴은 최고선을 얻으려면, 우리가 믿음으로 바르게 살고 주님께서 은혜를 주셔야만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Augustine says that they want finally to possess the supreme good in the city of God, it means the happy peace and the peaceful happiness and aims the perfect and forever peace. L. C. Daley describes that Augustine asserted that the supreme good and the final aim of the city of God of Augustine is God. Augustine says the supreme good and evil in the city of God.
그는 하나님의 도성의 최고선은 완전하고 영원한 평화이며, 죽을 인간들이 나서 얻고 죽어서 잃어버리는 그런 평화가 아니라, 아무 악도 없는 평화, 영생하는 존재들이 영원히 즐기는 평화이므로 그런 내세가 가장 행복하다는 것을 누가 부정할 수 없으며, 성도들은 금생에서도 소망으로 행복을 누린다고 말하고 있다.
He says that the supreme good of the city of God is perfect and eternal peace, not such as mortals pass into and out of by birth and death, but the peace of freedom from all evil, in which the immortals ever abide, who can deny that the future life is most blessed, or that, in comparison with it, and the saints are in this life blessed in hope.
어거스틴에 의하면 하나님의 도성이란 최고선이 이룩되는 세계요, 평화와 행복이 이룩되는 세계요, 영원한 평화를 누리는 행복이야말로 성도들의 목표이며, 진정한 완성이라고 한다. 하나님의 도성에 대해서 어거스틴은 시편 작가의 말을 인용하였다(시 147:12-14). 여기서 보듯이 어거스틴은 예루살렘이 문빗장을 견고히 하면 아무도 출입할 수 없을 것이며, 따라서 그 경내의 평화는 우리가 궁극적 평화라고 한다. 그는 이 도성의 마지막 또는 최고선은 영생 중의 평화, 또는 평화 속의 영생이라고 말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라고 하였다.
As for the city of God, Augustine quotes the writings of Psalmist: "Extol the LORD, O Jerusalem; praise your God, O Zion, for he strengthens the bars of your gates and blesses your people within you. He grants peace to your borders and satisfies you with the finest of wheat." (Ps 147:12-14) As shown here, Augustine understands that, if Jerusalem strengthens the bars of its gate, nobody can enter or exit, so the peace within it is the one we declares it as the final peace.
여기서 그는 평화는 심히 위대한 선이고, 평화보다 더 철저한 만족을 줄 만한 것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땅에서 평화를 즐기는 것이 하나님의 도성 사람들에게 유리하다고 하였다. 그는 하나님의 도성에는 영원한 행복과 영원한 안식이 있는데, 그 때에는 어떤 악도 없으며, 어떤 선도 부족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He asserts that for peace is a good so great, that even in this earthly and mortal life there is no word we hear with such pleasure, nothing we desire with such zest, or find to be more thoroughly gratifying. Augustine asserts that for those who belong to this world to enjoy the peace in this world is good for the citizens of the city of God. True peace shall be there, where no one shall suffer opposition either from himself or any other. God Himself, who is the Author of virtue, shall there be its reward.
그는 그때의 진정한 평화를 만유의 주 하나님을 찬양함으로 표현하였고, 결핍은 없으며, 확실하고, 완전하고, 영속하는 행복뿐인 것으로 말하고 있다. 어거스틴이 여기서 말한 주의 날은 주님의 부활로 성별 되어 영뿐만 아니라, 몸까지 영원히 안식할 것을 예표하며, 그 때에 우리는 쉬면서 보며, 보면서 사랑하며, 사랑하면서 찬양할 것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도성을 위하여 심지어 현세에서도 비난을 감수하는 성도들이 받을 보상은 하나님의 선물인 참되고 완전한 행복을 누린다고 한다.
Like this, Augustine sees that all of the citizens of the city of God shall enjoy the happy condition then and the true sabbath, and shall have no greater joy than the celebration of the grace of Christ, who redeemed us by His blood. And, the Lord's day, as Augustine says, is consecrated by the resurrection of Christ, and prefiguring the eternal repose not only of the spirit, but also of the body, there we shall rest and see, see and love, love and praise, at the same time, the reward of the saints who even here endured reproaches for that city of God which is hateful to the lovers of this world, that city is eternal, there none are born, for none die, there is true and full felicity, a gift of God.
어거스틴은 아담의 타락으로 시작된 이후 하나님의 시민 사회 내지 ‘예루살렘’의 발전은 아벨과 구약의 구원 사건을 거쳐 그리스도에게 이르고, 다시 그리스도로부터 교회를 지나서 시간의 종말에 가서야 저 영원한 ‘하나님의 도성’에 이르게 되어, 그곳에서 하나님의 도성의 시민은 진리의 승리와 거룩한 상태와 복락의 평화와 영원한 생명과 영원한 안식을 누린다고 한다.
Therefore, Augustine say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ivil society of God, Jerusalem, comes to Christ through Abel and the redempting event in the Old Testament, from Christ to the eternal City of God through the church at the end of time, where the citizens of the city of God shall enjoy the victory of the truth, the holy condition, the blessed peace, the eternal life, and the perpetual sabbath.
In 어거스틴의 하나님의 도성 분석 (김회창 저, 새순) 중에서
'김회창 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교지도력을 세운 사도영성 - 김회창 목사 출판 (0) | 2018.07.05 |
---|---|
어머니영성 아버지영성 사도영성 성결교회역사와 선교 (0) | 2010.05.03 |
선교전략방향,선교신학흐름,해병대와파워미션,어거스틴의하나님의도성분석 (0) | 2008.10.07 |